2025년 최신 전자책 출판 플랫폼 비교: 리디북스 vs 브런치 vs 원스토어
2025년 최신 전자책 출판 플랫폼 비교: 리디북스 vs 브런치 vs 원스토어
전자책을 완성했지만, 어디에 출판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? 출판사 없이도 누구나 직접 책을 유통할 수 있는 시대, 셀프 출판 플랫폼의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대표적인 국내 전자책 유통 플랫폼인 리디북스(리디셀프), 브런치북, 원스토어 북스를 비교 분석해 드립니다. 각 플랫폼의 출판 절차, 수익 구조, 독자층 등을 한눈에 확인해보세요.
1. 리디셀프 (RIDISELF)
리디북스는 국내 최대 전자책 플랫폼 중 하나이며, 셀프 출판 서비스인 ‘리디셀프’를 통해 누구나 전자책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.
- 출판 절차: 회원가입 → 원고(PDF) 업로드 → 표지 등록 → 승인 심사 → 판매 개시
- 수익 구조: 판매가의 약 60% 정산 (부가세, 수수료 제외)
- 장점: 독자층이 넓고, 수익 정산이 빠름 (월 1회)
- 단점: 초보자에겐 플랫폼 UI가 다소 복잡할 수 있음
추천 대상: 실용서, 자기계발서,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를 가진 저자
2. 브런치북 (Brunch Book)
브런치북은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글쓰기 플랫폼 ‘브런치’ 내에서 작가 인증을 받은 이용자가 전자책 형태로 시리즈를 출판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.
- 출판 절차: 브런치 작가 신청 → 승인 후 글 연재 → 브런치북 구성 → 출판 신청
- 수익 구조: 직접적인 판매 수익은 없음 (출판 제안 가능)
- 장점: 감성 콘텐츠, 에세이, 브랜딩 콘텐츠에 유리
- 단점: 상업적 수익에는 적합하지 않음
추천 대상: 에세이, 창작 글, 감성 콘텐츠를 통해 브랜딩을 원하는 작가
3. 원스토어 북스 (ONE Store Books)
원스토어 북스는 구글플레이 외의 대안 플랫폼으로,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층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전자책 유통 채널입니다.
- 출판 절차: ONE Store 개발자 센터 가입 → 책 등록 (ePub, PDF 지원) → 심사 → 출시
- 수익 구조: 판매가의 최대 70% 정산
- 장점: 기술서, 장르물에 강하고, 마케팅 기회 제공
- 단점: 브랜드 인지도는 리디에 비해 낮음
추천 대상: 기술 서적, 실용서, 장르소설 중심의 작가
📊 플랫폼 비교 요약표
플랫폼 | 정산 방식 | 출판 난이도 | 추천 콘텐츠 유형 |
---|---|---|---|
리디셀프 | 약 60% (월 1회) | 중간 | 실용서, 자기계발, 정보 콘텐츠 |
브런치북 | 직접 수익 없음 (브랜딩 중심) | 쉬움 | 에세이, 감성 콘텐츠, 창작 글 |
원스토어 북스 | 최대 70% | 약간 높음 | 기술서, 장르물, 실용 전자책 |
📌 어떤 플랫폼을 선택해야 할까?
정답은 없습니다. 하지만 아래 기준으로 본인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수익성과 유통 범위를 우선한다면 → 리디셀프
- 브랜딩, 글쓰기 경험 공유 중심이라면 → 브런치북
- 기술 콘텐츠, 특정 장르에 집중한다면 → 원스토어 북스
전자책을 출판하는 플랫폼을 고르는 것은 단순한 유통 경로 이상의 전략적 선택입니다. 글의 성격, 타깃 독자, 장기적인 브랜딩 방향까지 고려해 나만의 출판 전략을 세워보세요.
댓글
댓글 쓰기